beautiful things do not ask for attention Introduce

Biomedical science/assays

세포의 growth mode에 따른 계대배양(subculture) 방법

Hase 2021. 5. 17. 01:55

세포는 배지 속에서 자라는 위치에 따라 크게 Adherent cell(부착성 세포)Suspension cell(부유성 세포)로 나눌 수 있다. 앞에 semi-를 붙이면 일부가 부착/부유 한다는 것이다.

 

부착성 세포는 보통 아래 그림처럼 납작하고 끝이 길어진 형태를 하고있고, 

부유성 세포는 그에 비해 둥근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.

대부분의 세포는 부착성 세포이다.

이와 같은 형태에 따라 계대배양을 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.

 

우선, 배지 데우기!

냉장보관 된 배지를 필요한 만큼 50 ml cornical tube에 덜어서 warm bath에서 데워준다.

(귀찮^^지만 우리의 세포들은 37ºC에서 자라니까요~)

 

1. Adherent cells(부착성 세포)

 

▶ 부착성 세포는 plate의 바닥에 붙어서 자라기때문에 배지를 갈아주기 전 바닥에서 떼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.

--> Trypsin(단백분해효소)을 처리하는 화학적인 방법과, cell scrapper로 긁어준는 물리적인 방법이 있다.

 

--> 우리 실험실에서는 세포에 최대한 자극을 적게 주기 위해 trypsin을 처리하기 보단 scrapper를 선호한다.

 

▶ centrifuge: 비교적 잘 가라앉기 때문에 5분,

 

cell을 scrapping 해준다 : 세포에 너무 자극가지 않게 적당한 세기로..! 꼼꼼히! 나는 다양한 방향으로 3-4번 해준다.

ⓑ 15 ml cornical tube에 cell (in medium)을 옮긴다. 다 옮겨도 되고 1 ml 정도 남겨도 된다.

ⓒ 세포가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well이 많다면 각 well 당 배지 1 ml씩 분주 후, 남은 배지 양을 채워준다.

   (6 well plate 또는 T 25 flask 기준 well 당 배지 5 ml)

ⓓ 15 ml cornical에 옮겨 담은 cell을 5분동안 centrifuge 해준다.

ⓔ 상층액을 제거한 후 배지 1 ml으로 palet을 풀어준다.

ⓕ cell count 후 실험에 이용한다.

 

2. Suspension cell(부유성 세포)

 

▶ 부유성 세포는 부착성 세포에 비해 훨씬 간단하다! 세포가 배지 속에 부유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걷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~!

 

▶ 대신 부유되어 있기 때문에 centrifuge는 7분으로 좀 더 길다.

 

cell을 그대로 걷어서 15 ml cornical tube에 cell을 옮긴다. 다 옮겨도 되고 1 ml 정도 남겨도 된다.

ⓑ 세포가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well이 많다면 각 well 당 배지 1 ml씩 분주 후, 남은 배지 양을 채워준다.

   (6 well plate 또는 T 25 flask 기준 well 당 배지 5 ml)

ⓒ  15 ml cornical에 옮겨 담은 cell을 7분동안 centrifuge 해준다.

ⓓ 상층액을 제거한 후 배지 1 ml으로 palet을 풀어준다.

ⓔ cell count 후 실험에 이용한다.

 

세포의 종류에 따라 배지와 배양 기간은 다르지만, 부착/부유성 세포에 따른 배양 방법은 이렇게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. 

 

cell line은 매우 잘 자라기 때문에 대부분의 세포를 걷은 후 배지를 채워줘도 며칠 후면 금세 자란다.

실험에 따라 centrifuge 후 cell count를 해준 다음 일정 양의 세포를 분주해서 배양하기도 한다.

 

끝으로,,

세포 실험은 오염 조심하는게 아주 중요한거 아 시 져!!

 

clean bench 이용!

배지는 필요한 만큼 덜어서 사용!

pippet tip 교체 잊지말기! 오염 주의!

 

그럼 모두들 세포 무럭무럭 잘 길러내시길 바라용~! ♡

 

이미지 출처: Magnetic field direction differentially impacts the growth of different cell types, 2018, Xiaofei Tian, Figure 5